티스토리 뷰

반응형

GV80 배터리 교체, 트렁크 시트 분해와 T자 브라켓 탈거에 1시간 넘게 고생했어요

원격 시동 불능과 계기판 깜빡임의 원인이었던 노후 배터리를 AGM 95R LN5로 교체 후 문제 해결!

GV80 배터리 교체는 전문가에게, 교체 시기와 규격 확인 필수!

 

얼마 전부터 제 애마인 제네시스 GV80의 컨디션이 심상치 않았어요.

디지털 계기판 화면이 간헐적으로 깜빡이는가 하면, 그렇게 편리했던 스마트폰 원격 시동 기능이 먹통이 되기 일쑤였죠.

특히 원격 시동 시도 시에는 "배터리 전압 부족"이라는 메시지가 뜨는 것을 확인하고 배터리 문제임을 직감했습니다.

제네시스GV80 배터리교체비용
제네시스GV80 배터리교체시기

 

몇 개월 전 40,000km 주행 시점에 블루핸즈에서 배터리 점검을 받았을 때 잔량이 33%라는 이야기를 들었던 터라,

현재 46,000km를 넘긴 시점에서 배터리 교체 시기가 임박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교체 주기는 3~4년 또는 3~4만 km 주행을 기준으로 하니, 여러모로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었죠.

무엇보다 다가오는 여름, 뜨겁게 달궈진 차 안으로 바로 탑승하는 건 상상하기도 싫었습니다.

미리 원격 시동으로 에어컨을 작동시켜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것은 정말 포기할 수 없는 편리함이니까요!

 

그래서 서둘러 배터리 교체 전문 업체를 찾았습니다.

10분에서 20분 정도면 끝날 줄 알았던 배터리 교체 작업은 예상외로 1시간이 넘게 걸리는 대작업이어요

GV80의 배터리 위치는 트렁크 하단 깊숙한 곳에 자리 잡고 있었지요ㅜ

게다가 배터리를 확인해보니, 배터리 공기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노란색 황가루가 여기저기 묻어 있었어요

이런 상태라면 즉시 교체가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제네시스GV80 배터리교체비용제네시스GV80 배터리교체시기
제네시스GV80 배터리교체 작업 T자형 브라켓 빼기

대부분의 제네시스 모델은 트렁크 바닥에 배터리가 위치하지만, 특히 GV80은 작업 난이도가 상당했습니다.

트렁크 바닥에 덧대어진 시트 때문에 이를 먼저 분리해야 했고, 배터리 커버를 열자 T자형 고정 브라켓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좁은 공간에서 이 브라켓을 쉽게 빼내는기가 너무 힘들었던 거죠. (혼자 작업 하시는데 힘들어보여 살짝 도와드렸어요;)

트렁크를 지지하는 부품들을 전부 탈거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 최대한 필요한 부분만 조심스럽게 분리하며 씨름한 끝에 드디어 낡은 배터리를 꺼낼 수 있었습니다.

 

새롭게 교체한 배터리는 AGM 95R LN5 12V 850CCA 규격의 호환 배터리입니다.

AGM 배터리는 일반 배터리보다 수명이 길고 성능이 안정적이라고 하여 선택하게 되었어요

배터리 교체 후, 놀랍게도 그동안 저를 신경쓰이게 했던 계기판 깜빡임 현상이 완전히 사라졌고,

가장 불편했던 원격 시동 기능 또한 거짓말처럼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고요.

이제 스마트폰으로 미리 시동을 걸어둘 수 있게 되어, 올여름은 한결 쾌적하게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아요

제네시스GV80 배터리교체시기
제네시스GV80 배터리 호환 AGM 95R LN5 12V


제네시스 GV80 배터리 교체 시기와 주의사항 (경험 바탕 정리)

◆ 배터리 교체 시기

 - 일반적으로 3~4년 또는 주행거리 3~4만 km 이상

 - 배터리 잔량 급격히 감소할 때

 - 계기판 등 전자 장치에 이상 증상이 나타날 때

 - 원격 시동 등 배터리 관련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때

 - 배터리 외부에 황가루 등 이상 징후가 보일 때

 

배터리 교체 시 주의할 점

 ① 전문 업체를 이용하세요

   - GV80처럼 복잡한 구조는 자가 교체가 매우 어렵습니다.(제 경험으로써는 그랬어요ㅜ)

 ② 정확한 규격의 배터리 확인

   - 순정 또는 호환 가능한 배터리 (예: AGM 95R LN5)를 사용해야 차량 시스템과 문제없이 작동합니다.

 ③ 작업 과정을 꼼꼼히 확인

   - 탈거 및 장착 시 차량 손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④ 안전 제일

   - 배터리 단자 분리 및 연결 시 쇼트에 주의하세요.

 

배터리 교체 후 확인해야 할 작업

① 시동 및 각종 전자 장치 작동 확인

  - 계기판, 라이트, 오디오 등

②  원격 시동 기능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스마트폰 앱 연동 상태 포함

③ 배터리 경고등 점등 여부 확인

   - 경고등이 들어오면 즉시 점검받으세요.

④ 교체 부위 주변 정리 상태 확인

  - 분리했던 트렁크 내부 부품들이 제대로 재조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저는 배터리전문업체에 맡겨서 가격 ㅇㅅ만원(二)에 교체 했습니다.

    업체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GV80 배터리 교체는 생각보다 까다로운 작업(T브라켓만 해결되면 쉬움)이었지만, 묵은 숙제를 해결한 듯 속이 후련해요~

특히 AGM 배터리로 교체하여 앞으로 더 오랫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기대해 봅니다.

GV80 배터리 교체를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제 경험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